티스토리 뷰

반응형

우리는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습니다. 또한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자신의 강점을 계발해서 대표강점으로 만들고, 또 자신의 약한 강점(강점이 없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그러한 강점이 다른 강점에 비해 적은 것일 뿐임)은 조금 보완하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VIA강점 중 절제 그룹에 있는 "16. 용서와 자비"의 강점을 자신의 대표 강점으로 더욱 계발하거나, 혹은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강점이어서 더욱 함양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강점계발 워크북을 통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1번 자기용서부터 시작해서, 2. 타인용서, 3. 단점의 수용, 4. 두 번째 기회 부여, 5. 자비로운 행동, 6. 감사와 인정까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차례대로 구성했습니다.시간을 정해서 워크북의 내용을 하나씩 작성해가시면서 실천하시면 용서와 자비의 강점을 더욱 함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바로 PDF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려면 본문내용 맨 하단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VIA강점 중 절제 그룹에 있는 "16. 용서와 자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s://simlee-solution.tistory.com/entry/%EB%82%A8%EC%9D%98-%EC%84%B1%EA%B3%B5%EB%AA%85%EC%96%B8%EB%B3%B4%EB%8B%A4-%EB%84%88%EC%9D%98-%EC%84%B1%EA%B3%B5%EA%B0%95%EC%A0%90%EC%A0%88%EC%A0%9CTemperance16%EC%9A%A9%EC%84%9C%EC%99%80-%EC%9E%90%EB%B9%84%EB%AC%B4%EB%A3%8C%EA%B0%95%EC%A0%90%EA%B2%80%EC%82%AC

 

 

절제(Temperance)_16.용서와 자비

 

"절제(Temperance)_16.용서와 자비"는 사람이 나쁜 일을 저질렀을 때 그를 용서하고, 다른 사람의 단점을 받아들이며, 두 번째 기회를 부여하고 앙심을 품지 않는 강점입니다.

 

용서와 자비의 강점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이 용서와 자비의 강점을 더욱 함양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 자기 용서

자신에 대한 용서와 자비부터 시작합니다. 우리는 모두 실수를 범하고, 가끔은 나쁜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기를 비난하거나 자책하지 않고, 자신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것은 절제의 일환이 될 수 있습니다.

 

1) 내가 나를 비난하거나 자책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2) 내가 그렇게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3) 그렇게 했던 나를 이해하고 공감해 주고 용납해 주는 말을 적어 주세요. 사람은 누구나 그럴 수 있습니다.

 

 

4) 그리고 나를 용서해 주세요.(나를 용서하는 말을 적어 주세요)

 

 

5) 필요하다면 아래에 누군가에게 용서와 사과의 편지를 써도 좋습니다. 편지는 그 사람에게 보내도 되고 보내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하므로 내가 나를 온전히 용납하고 용서하는 것입니다.

 
 
 
 
 

 

2. 타인 용서

다른 사람이 우리에게 상처를 주거나 나쁜 일을 저질렀을 때, 용서의 마음을 가져봅니다. 이는 마음의 응어리를 풀고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용서는 상호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용서의 목적은 타인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노예상태에 있는 나를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나의 분노와 상처를 해결하고 내 내면의 평화를 찾는 과정입니다.

 

1) 나에게 상처를 주거나 나쁜 일을 저지른 사람이 있나요? 있다면 그 사람과 그 일을 적어 보세요

 

 

2) 그 때 당신의 마음은 어땠나요? 어떤 감정을 느꼈나요? 당신이 받은 상처와 아픔을 온전히 인정하고 용납해주세요.

 

 

3) 그 사람이 그렇게 했던 이유는 뭘까요? 어떤 상황 속에서 어떤 마음으로 그렇게 했을까요?

 

 

4) 그렇게 밖에 할 줄 모르는 그 사람을 불쌍히 여겨 주세요.

 

 

5) 이제 그 사람을 용서해주세요. 감정의 노예 상태에 있는 당신을 자유롭게 해주세요.

(그 사람을 용서하는 말을 적어주세요. 편지처럼 적어도 좋고, 그 사람에게 바로 옆에서 대화하듯이 적어도 좋습니다. )

 
 
 
 
 
 
 
 
 
 

 

3. 단점 수용

우리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도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단점을 수용하는 것은 우리 자신과 타인 간에 상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내가 생각하거나 또는 타인이 말하는 나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2) 그 단점을 관점을 바꿔서 긍정적으로 표현해 보세요.

예시)자기 관리를 못한다. =>자유로운 영혼이다. / 다혈질이다 => 자기감정에 충실하다.

 
 
 
 

 

3) 나의 단점도 사실은 좋은 점이 있다는 것을 아니까 어떤 기분이 드나요?

 

 

4) 가까운 사람들(가족, 친구 등)에 대해서 내가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5) 그 단점을 관점을 바꿔서 긍정적으로 표현해 보세요.

 
 
 
 

 

5) 타인의 단점도 사실은 좋은 점이 있음을 인정하고 그 단점을 수용해 주세요.

 
 
 
 

 

4. 두 번째 기회 부여

누구나 실수를 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용서와 자비를 발휘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두 번째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성장과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우리는 모두 과거의 실수와 잘못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대방에게도 그 기회를 주는 것은 상호적인 관계의 핵심입니다.

 

1) 누군가 나에게 한 잘못으로 다시 만회할 기회를 주지 않은 사람이 있나요? 있다면 그 사람은 누구이며 무엇 때문이었나요?

 

 

2) 그로 인해 내가 느낀 감정과 내가 받은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3) 신이 우리의 범죄에도 불구하고 다시 기회를 준 것처럼, 우리 부모님께서 우리의 잘못에도 다시 기회를 준 것처럼, 누군가 나의 잘못에도 나에게 다시 기회를 준 것처럼 우리도 누군가에게 다시 기회를 주면 어떨까요? 지금 당신의 마음과 생각, 결심을 이야기해주세요.

 

 

4) 다시 기회를 준다면 구체적으로 무슨 기회를 어떻게 주면 좋을까요?

 

 

 

5. 자비로운 행동

일상 생활에서 자비로운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용서와 자비의 강점을 발전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관용을 베푸고 배려를 실천하며, 편안하고 화목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작은 관용과 자비의 행동들이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일상생활에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자비로운 행동은 무엇일까요? 3가지씩 적어봅시다.

 
학교  
기타  

 

 

2) 그로 인해 나와 타인에게는 어떤 영향이 미칠까요?

 
타인  

 

 

6. 감사와 인정

용서와 자비를 발전시키기 위해 감사와 인정의 마음을 가집니다. 우리 주변에는 우리를 도와주고 우리를 이해해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에게 감사하고 그들의 노력과 인정을 표현하는 것은 우리의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고, 용서와 자비의 사이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우리 주변에서 내가 감사와 인정을 표현할 사람은 누구일까요? 3명 이상 적어봅시다.

 
학교  
기타  

 

 

2) 그 사람들에게 어떻게 감사와 인정을 표현할까요?

 
 
 

 

 

3) 그로 인해 나와 타인에게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타인  

 

※ 강점계발워크북을 다운 받으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강점워크북_16. 용서와자비.pdf
0.10MB

 

 

 

 

반응형